전체메뉴열기
'기업특강 김대식 교수 앞으로 세상을 지배할 충격적인 기술'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
  • 4차산업
  • 디지털 기술 · GPT
  • IT · 보안
  • 과학 · 미래기술
  • 미래사회 · 트렌드
  • 빅데이터

강연 주제
  • 뇌를 연구하는 학문과 AI 연구와의 공통점
  • 지금이라도 한국형 AI가 필요한 이유
  • 10년 안에 나올 스마트폰 이상의 혁명

안녕하세요, 강연자 섭외 전문기업 더공감입니다.
한 사람의 경험이 또 다른 이의 삶을 바꾸는 순간을 함께합니다.




오늘은 뇌과학과 인공지능을 잇는 시선으로

변화를 설명하는 김대식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그는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로,

뇌과학과 AI 융합 연구를 이끌며 인공지능의

미래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과학으로 인간을 읽는 통찰, 김대식 교수의 시선



기술의 발전이 빠를수록,

인간 사고는 더 깊어져야 한다는 메시지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고의 프레임’을 바꾸는 법,

완벽보다 실험을 택하는 용기,

그리고 기술을 인간의 가능성으로 확장하는 지혜를 함께 얻습니다.

생각의 알고리즘으로 세상을 읽다

 

김대식 교수는 뇌의 원리가 인공지능의

작동 방식과 얼마나 닮아 있는지를 풀어내며,

기술의 본질이 결국 인간을 닮았음을 이야기합니다.

 

교수님은 과학을 넘어 인간의 본질과

사회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만듭니다.



AI 시대를 이야기할 때 김대식 교수는

기술의 속도보다 ‘인간 사고’에 주목합니다.


완벽보다 실험, 멈춤보다 시도

기술이 아닌 사고의 전환이 혁신을 만든다

데이터 시대의 인간력, 생각하는 힘


끊임없이 질문하고, 배운 것을 다시 실험하는 태도야말로

변화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는 힘이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김대식 교수는 인간의 상상력 한계를

기술이 어떻게 확장해 나가는지를 통찰합니다.


AI 시대는 인간의 감각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사고를 더욱 깊고 넓게 만드는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일수록,

인간다운 사고의 본질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빠르게 변하는 기술의 흐름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입니다.


AI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영역은 여전히 남아 있고,
그 차이는 결국 ‘생각하고 연결하는 힘’에서 시작됩니다.


지금의 변화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점이며,
미래를 두려워하기보다 주도적으로 설계할 때
진짜 ‘사람의 시대’가 다시 열릴 것입니다.

카이스트 교수 김대식

디지털 기술 · GPT , IT · 보안 , 과학 · 미래기술 , 미래사회 · 트렌드 , 빅데이터

카카오톡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