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주제
- 일단 미루고 보는 한국인들이 특히 많이 미루는 것
- 게으른 사람들이 계획만 다짐하고 실천하지 않는 이유
- 내가 미루는 습관을 가진 사람인지 알아보는 방법





안녕하세요, 강연자 섭외 전문기업 더공감입니다.
한 사람의 이야기가 또 다른 누군가의 용기가 됩니다.
20년 넘게 미루는 습관과 행동 심리를 연구해 온
연세대학교 이동귀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오늘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법한 주제,
‘미루기 습관’에 대해 이야기 나누려 합니다.

왜 우리는 미루는가? 심리학이 전하는 답
이동귀 교수님은 “게으른 성격”이 아니라
불안과 감정 조절의 어려움이 미루기를 만든다고 말합니다.
자책이 아니라 이해에서 출발해야
습관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미루는 습관 끊는 8가지 방법
작은 행동으로 시작하기
15분 법칙 활용하기
자기만의 행동 주문 만들기
환경 설계하기
공개 선언 효과
현실적인 시간 계획 세우기
작심삼일 활용하기
자책 대신 감정 조절하기
이동귀 교수님의 강연은 단순한 ‘방법 나열’이 아니라,
직접 행동하고 변화로 이어지게 만드는
구체적인 실천의 길을 제시합니다.

이동귀 교수님은 단순히 의지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습관이 몸에 배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과학적 근거를 전합니다.
꾸준한 반복이 만들어내는 힘은 청년들의
자기관리에서부터 직장인의 성과 관리,
나아가 조직 리더십과 시민 평생학습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을 몰아서 했을 때 잠깐은 성과가 높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과 지속력을 해칩니다.
“효율적인 시간 관리와 감정 조절”을 통해
미루기를 줄이고,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습관 형성으로
꾸준히 나아가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사례로 배우는 교훈
몰아치기의 한계, 완벽주의의 덫
작심삼일의 과학적 이유까지
청중이 스스로의 행동을 돌아보고,
다시 시작할 용기를 갖게 합니다.

오늘 이야기를 통해,
미루는 습관이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라
감정과 불안, 그리고 습관 문제라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중요한 건 ‘언제 시작하느냐’인데,
교수님은 말합니다.
“지금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은 타이밍이다.”